이시각 주요 이슈 : 반도체는 중요하다!
📌 1. 회사 개요
- 🏢 설립 연도: 1963년
- 📍 본사 위치: 필라델피아, 미국
- 📈 상장 여부: NASDAQ 상장 (티커: CMCSA)
- 💰 2024E 매출: 약 $123.4B
- 📊 2024E 영업이익: 약 $22.7B
- 💵 배당: 연간 $1.16, 배당수익률 약 2.9% (2024E 기준)
🔍 2. 주요 사업 부문
✅ 케이블 통신 서비스 (Comcast Cable)
- Xfinity 브랜드를 통해 인터넷, TV, 전화 및 홈 보안 서비스 제공
- 미국 내 최대 유선 브로드밴드 사업자
✅ 콘텐츠 제작 및 유통 (NBCUniversal)
- NBC, MSNBC, CNBC, USA Network 등 주요 방송 네트워크 보유
- Universal Pictures 영화 제작 및 배급
✅ 스트리밍 서비스 (Peacock)
- 광고 기반 무료 모델과 유료 구독 혼합 모델로 확장 중
✅ 테마파크 (Universal Parks & Resorts)
- 플로리다, 캘리포니아, 일본, 싱가포르 등 글로벌 테마파크 운영
- Nintendo World 등 신규 콘텐츠로 재도약 시도
🏆 3. 시장 지위 및 경쟁력
🚀 통신 + 콘텐츠 + 엔터테인먼트 통합 모델
- 인프라와 미디어 콘텐츠를 동시에 소유한 복합 미디어 기업
🚀 광대역 시장 1위 점유율
- 미국 고속 인터넷 시장에서 선두 유지
🚀 자체 콘텐츠와 IP 보유
- Universal, DreamWorks 등 강력한 IP 기반 콘텐츠 제작 가능
📊 주요 경쟁사 비교
항목 | Comcast (CMCSA) | Disney (DIS) | Paramount (PARA) |
콘텐츠 IP | NBCU, Universal 등 | Pixar, Marvel 등 | Paramount Studios |
스트리밍 | Peacock | Disney+, Hulu | Paramount+ |
테마파크 | 유니버설 | 디즈니랜드 | 없음 |
통신 인프라 | Xfinity | 없음 | 없음 |
📊 4. 최근 동향 및 미래 전망
📈 Peacock의 사용자 수 증가
- 2023년 기준 3000만 명 이상, 광고 기반 구독 모델 강화
📈 테마파크 실적 반등
- 코로나19 이후 리오프닝 효과 + 신규 IP 투자
📈 케이블 가입자 감소 추세 대응
- 고속 인터넷 중심 비즈니스 재편 중
📉 콘텐츠 제작 비용 증가
- 스트리밍 경쟁에 따른 제작비 부담
💡 5. 투자 관점에서의 평가
💰 현금흐름 기반 안정성
- 인프라 비즈니스에서 발생하는 고정 수익 구조
💰 콘텐츠와 유통을 동시에 소유
- 제작–송출–배급까지 수직계열화된 사업모델
💰 위험 요소:
- 케이블 가입자 감소 (Cord-cutting)
- 스트리밍 전쟁 심화로 인한 경쟁 압력
📈 CMCSA vs 경쟁사 재무제표 비교 (2024E)
항목 | Comcast | Disney | Paramount |
매출 ($B) | 123.4 | 89.3 | 28.7 |
영업이익 ($B) | 22.7 | 12.1 | 2.5 |
순이익 ($B) | 13.6 | 7.8 | 0.7 |
배당수익률 (%) | 2.9% | 1.6% | 2.1% |
📊 그래프 이미지(매출 & 영업이익 비교)
🔎 6. 결론
🌟 Comcast는 케이블, 콘텐츠, 스트리밍, 테마파크를 아우르는 미국 대표 미디어 복합 기업입니다.
🌟 광대역 통신과 테마파크의 고정 수익 기반과, Peacock 중심의 스트리밍 확장성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습니다.
🌟 현금흐름 안정성과 배당 여력이 뛰어나며, 콘텐츠-IP와 인프라 결합 전략이 장기 경쟁력을 확보해줍니다.
🌟 Cord-cutting과 스트리밍 경쟁 심화는 위험 요인이지만, NBCUniversal과 유니버설 IP는 확고한 방패 역할을 합니다.